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대인관계기술
- 적극적경청
- 방사능검사
- 능동적표현
- 독서토론
- 삼림벌채
- 소금의부정적영향
- 방사능정보
- 건강한생활습관
- 소금의긍정적영향
- 백베스
- 판매중지식품알림
- 나트륨줄이는방법
- 아껴서저축하기
- 폭염대비법
- 숲의중요성
- 시간관리명언
- 셰익스피어
- 오셀로등장인물
- 수면부족유형
- 인터스텔라뜻
- 근로청년지원사업
- 4대비극
- 진로탐색방법
- 효과적의사소통
- 수면방해요소
- 햄릿
- 삼림의환경영향
- 디지털웰빙하는방법
- 소금의활용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5)
좋아하는 것들의 방

카피라이트(CopyRight)와 카피레프트(CopyLeft)를 들어보셨나요? 이 두 용어는 기술 개발이나 예술 창작 등의 지적 재산권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입장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카피라이트(CopyRight) 카피라이트(CopyRight)는 저작물 제작자에게 저작물의 사용, 수정 및 배포를 통제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리를 부여하는 지적 재산권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저작권 소유자는 자신의 작품이 사용되는 방식을 통제하고 사용료 또는 로열티를 부과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장점 저작물 작성자를 위한 법적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창작자가 작품에서 돈을 벌고 작품의 사용을 통제할..

우리는 종종 논증을 하며 오류를 범하는데요. 대충 들으면 맞는듯 하지만, 면밀히 따져보면 틀린 논증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1. 인신공격(Ad hominem) 주장에 대한 논거로 상대방의 성격이나 인품을 이용하는 경우입니다. 이 오류는 상대방을 공격하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주장의 논리성을 오히려 방해하지요. 예시 : 기후 변화에 대한 존의 주장을 믿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거짓말쟁이이자 사기꾼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2. 권위에 호소하기(Appeal to authority) 주장에 대해 증거나 추론을 제시하지 않고 권위 있는 인물이나 전문가의 지지를 받았기 때문에 자신의 입장이 진실이라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예시 : 그 회사의 CEO는 우리의 신제품이 시장에서 가장 좋다고 하니, 우리 ..

사랑하고 싶은 계절 봄입니다. 사랑이라는 단어는 하나지만, 우리의 사랑은 사람 수만큼이나 다양한데요. 사랑이란 무엇일까. 이야기해 볼 수 있는 책 다섯 권을 소개합니다. 1. 에리히 프롬 이 책은 사랑의 본질을 탐구하고 사랑을 어떻게 가꾸고 표현할 것인지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을 해줍니다. 프롬은 사랑은 연습과 훈련을 필요로 하는 예술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우고 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의 핵심 주제 중 하나는 사랑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하는 적극적이고 의도적인 선택이라는 것입니다. 2. 게리 채프먼 이 책은 사람들이 사랑을 표현하고 경험하는 다양한 방법을 탐구합니다. 채프먼은 긍정의 말, 봉사의 행동, 선물 받는 것, 좋은 시간, 그리고 신체적인 접촉의 다섯 가지 기본..

연역과 귀납은 추론 및 논증 연구, 분석 등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 방법입니다. 이 두가지는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자주 들어보셨을텐데요. 연역과 귀납에 대해 알아볼까요. 연역적 추론 (연역법) 연역적 추론은 필요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전제에 기초한 추론입니다. 즉, 전제가 참이라면 결론도 참이라는 것인데요. 대표적인 것이 삼단논법입니다. '참'이라고 생각되는 일반적인 진술이나 전제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되는 특정한 결론이 '참'이라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입니다. 이 예에서 결론은 앞의 두 전제에서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것이므로 마지막 문장은 연역적으로 '참'으로 간주됩니다. 귀납적 추론 (귀납법) 귀납적 추론은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