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나트륨줄이는방법
- 방사능정보
- 건강한생활습관
- 인터스텔라뜻
- 폭염대비법
- 수면방해요소
- 수면부족유형
- 오셀로등장인물
- 효과적의사소통
- 적극적경청
- 햄릿
- 방사능검사
- 삼림벌채
- 판매중지식품알림
- 4대비극
- 능동적표현
- 숲의중요성
- 셰익스피어
- 독서토론
- 진로탐색방법
- 백베스
- 소금의부정적영향
- 아껴서저축하기
- 시간관리명언
- 디지털웰빙하는방법
- 근로청년지원사업
- 삼림의환경영향
- 대인관계기술
- 소금의활용
- 소금의긍정적영향
- Today
- Total
좋아하는 것들의 방
연역과 귀납 본문
연역과 귀납은 추론 및 논증 연구, 분석 등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 방법입니다. 이 두가지는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자주 들어보셨을텐데요. 연역과 귀납에 대해 알아볼까요.
연역적 추론 (연역법)
연역적 추론은 필요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전제에 기초한 추론입니다. 즉, 전제가 참이라면 결론도 참이라는 것인데요. 대표적인 것이 삼단논법입니다. '참'이라고 생각되는 일반적인 진술이나 전제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되는 특정한 결론이 '참'이라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입니다. 이 예에서 결론은 앞의 두 전제에서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것이므로 마지막 문장은 연역적으로 '참'으로 간주됩니다.
귀납적 추론 (귀납법)
귀납적 추론은 가능성이 있거나 가능성이 있는 결론을 이끌어내는 전제에 기초한 추론입니다. 연역적 추론과는 달리, 귀납적 추론은 결론이 진실이라고 확신하거나 보장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땅콩을 먹을 때마다, 저는 알레르기 반응을 겪었습니다. 따라서, 제가 땅콩을 다시 먹게 되면 아마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것입니다'같은 것입니다. 이 예에서 결론은 동일한 결과가 다시 발생할 확률을 기반으로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의 구분
연역적 추론은 일반 이론이나 가설에서 시작하여 특정 관측치를 검증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모든 백조는 흰색이다.'는 가설로 시작하여 백조가 흰 색인지 아닌지를 관찰하여 이 가설을 테스트하는 것이지요. 반면 귀납적 추론은 특정한 관찰이나 증거로 시작하여 그러한 관찰 결과를 일반적 이론이나 가설로 만듭니다. 예를 들면 연구자가 본 모든 백조가 흰색이었다는 것을 관찰한 후 '모든 백조는 흰색이다.'는 결론을 가설을 내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연역적 추론은 일반적인 이론이나 가설에서 시작하여 특수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반면, 귀납적 추론은 특정한 관찰에서 시작하여 그 현상을 설명하는 일반적 가설을 끌어냅니다. 두 방법 모두 장단점이 있으므로 사용 가능한 논증 및 연구 목적에 따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연역적 추론은 수학, 논리, 형식 체계에서 사용되며, 여기에는 명확하고 명확한 추론 규칙이 있습니다. 귀납적 추론은 과학에서 사용되며, 실험과 관찰을 통해 가능한 결론을 도출하고 패턴이나 추세에 기반해 미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토론의 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피라이트(CopyRight) 와 카피레프트(CopyLeft) (0) | 2023.05.15 |
---|---|
논증의 오류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0) | 2023.05.14 |
소셜 미디어가 청소년기에 미치는 영향 (0) | 2023.05.07 |
토론하기 좋은 스테디셀러 다섯 편 (0) | 2023.05.04 |
시간을 건너는 집 - 김하연 (1)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