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터스텔라뜻
- 폭염대비법
- 근로청년지원사업
- 백베스
- 수면방해요소
- 아껴서저축하기
- 방사능검사
- 건강한생활습관
- 햄릿
- 독서토론
- 소금의활용
- 나트륨줄이는방법
- 4대비극
- 삼림의환경영향
- 오셀로등장인물
- 능동적표현
- 숲의중요성
- 소금의부정적영향
- 대인관계기술
- 수면부족유형
- 방사능정보
- 셰익스피어
- 효과적의사소통
- 디지털웰빙하는방법
- 시간관리명언
- 진로탐색방법
- 삼림벌채
- 적극적경청
- 판매중지식품알림
- 소금의긍정적영향
- Today
- Total
좋아하는 것들의 방
문학 비평의 방법 본문
문학 비평은 문학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문학작품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평가, 더 깊은 의미를 발견하고 주제를 탐구하며 작가들이 사용하는 기법을 검토하는 것 등을 모두 문학 비평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문학평론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과 접근법을 알아볼까요.
문학 비평의 종류
1. 형식주의 비평
형식주의 비평은 문학 작품의 구조, 언어, 스타일, 그리고 문학적 장치와 같은 문학의 본질적인 요소에 초점을 맞춥니다. 작품에 사용된 각 요소들이 글의 전체적인 의미에 어떻게 기여하며 주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요.
2. 역사적 비평
역사 비평은 문학 작품을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검토합니다. 작품이 쓰인 시기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고려하여 작가의 의도와 작품과 역사적 환경의 관련성을 조명하는 방식이죠.
3. 독자 반응 비평
독자 반응 비평은 텍스트를 해석하는 데 있어 독자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독자들이 자신의 경험과 신념, 관점을 독서 과정에 가져오고, 독자와 텍스트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가 만들어진다는 것을 인정하는 관점으로 독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요.
4. 정신분석적 비평
정신분석학적 비평은 등장인물과 작가의 무의식적인 동기와 욕구를 분석하기 위해 심리학 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특히 프로이트의 이론을 자주 사용하는데요. 성, 억압, 그리고 인간의 마음의 작용에 대한 주제를 탐구해요.
문학 비평 방법
1. 자세히 읽기(Close Reading)
자세히 읽기는 텍스트의 언어, 이미지, 기호 및 서술 기법을 검토하는 상세하고 신중한 분석을 하는 일입니다. 그것은 저자의 단어 선택과 뉘앙스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죠. 또한 텍스트 내에서 단어나 문장이 사용된 의미를 깊이있게 분석하고 다양하게 해석해 봅니다.
2. 상호텍스트성
상호텍스트성은 서로 다른 텍스트 간의 연결과 참조를 말합니다. 문학적 전통과 장르, 작품의 맥락같이 여러 측면에서 텍스트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하나의 문학 작품이 다른 작품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으며 어떤 반응을 가져왔는지를 분석해 봅니다.
3. 비유와 상징
알레고리(비유)와 상징을 해석하는 것은 작품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욯나 요소인데요. 이러한 기법들은 작품에서 어떤 사물이거나 인물, 상황 전체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은 더 깊은 의미를 품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종종 주제와 직결돼요.
4. 구조 분석
구조 분석은 문학 작품의 전체적인 구조와 구성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하나의 챕터나 하나의 장 등 일반적이고 시간적인 배열뿐 아니라 과거 회상이나 예언처럼 역순행적 구성이나 액자 구성 등 작가의 의도가 담긴 글 전체의 구조를 분석해 보는 것이죠.
문학작품을 읽다보면 점점 더 작품을 분석해지고 싶어지는데요. 문학 비평의 도구를 알고 있다면 작품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됩니다. 서로 다른 관점에서 작품을 탐구해보고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고, 때로 다른 작품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나 타 작품을 언급하여 전개하는 부분등을 찾아보세요. 문학 작품의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거예요.
'토론의 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2 : 리어왕 (0) | 2023.06.18 |
---|---|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1 : 햄릿 (0) | 2023.06.18 |
햄릿과 돈키호테. 나는 어느 쪽? (0) | 2023.06.09 |
사회적 불평등은 왜 문제가 되는 걸까요? (0) | 2023.06.06 |
지구온난화 대책 : 지속 가능한 미래로 가는 길 (0)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