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숲의중요성
- 능동적표현
- 진로탐색방법
- 수면방해요소
- 4대비극
- 인터스텔라뜻
- 오셀로등장인물
- 근로청년지원사업
- 건강한생활습관
- 대인관계기술
- 소금의부정적영향
- 시간관리명언
- 소금의활용
- 판매중지식품알림
- 소금의긍정적영향
- 셰익스피어
- 방사능정보
- 독서토론
- 방사능검사
- 삼림의환경영향
- 효과적의사소통
- 적극적경청
- 나트륨줄이는방법
- 삼림벌채
- 수면부족유형
- 아껴서저축하기
- 백베스
- 폭염대비법
- 디지털웰빙하는방법
- 햄릿
- Today
- Total
좋아하는 것들의 방
햄릿과 돈키호테. 나는 어느 쪽? 본문
문학의 작품에서 독특한 캐릭터로 손가락에 꼽힐 인물이라면 단연 햄릿과 돈키호테입니다. 셰익스피어의 햄릿과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는 복잡한 성격과 심오한 이야기의 상징이 되었는데요. 이 상징적 인물들의 심리적 특징과 행동 동기, 그리고 문학과 문화 전반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I. 심리적 특성
A. 햄릿
1. 미루기와 우유부단함 : 햄릿은 극 내내 행동을 미루거나 시기적절한 결정을 내리지 못합니다. 끊임없는 숙고하고 또 숙고하는 그의 모습은 그가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행동하기를 주저하고 꺼리는 원인이 되지요.
2. 우울한 본성 : 햄릿의 우울한 기질은 깊은 성찰과 반성에서 나오는 것인데요. 그의 심오한 독백과 철학적 사색은 그의 내성적인 성격과 우울한 기질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어요.
B. 돈키호테
1. 이상주의와 망상 : 돈키호테의 이상주의적 세계관은 기사도에 대한 그의 망상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그는 종종 풍차를 거인으로, 여관 주인을 귀족 영주로 착각하면서 왜곡된 렌즈를 통해 주변 세계를 인식하지요.
2. 불굴의 결심 : 돈키호테가 상상한 세계에 대한 변함없는 헌신은 그의 끈질긴 결단력을 보여줍니다. 수많은 실패와 좌절에 직면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의 이상주의적인 비전 추구를 포기하지 않아요.
II. 행동의 동기와 목표
A. 햄릿
1. 정의와 복수 : 햄릿은 아버지의 살인에 대한 진실을 찾고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하고 싶은 욕망에 의해 움직입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의 행동의 도덕성과 씨름하며 행동의 결과와 정의의 진정한 본질을 끊임없이 고민해요.
2. 진실과 자아 정체성 찾기 : 햄릿은 그의 아버지의 죽음 뒤에 숨겨진 진실을 밝혀내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의 내면적 여정은 다른 사람들의 진실성에 의문을 갖게 하고 궁극적으로 그 자신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추구하는 과정이기도 해요.
B. 돈키호테
1. 기사도와 명예의 회복 : 돈키호테의 주된 동기는 기사도의 이상을 회복하고 세상에 명예를 되찾는 것입니다. 그는 불의와 싸우고, 약한 자들을 보호하고, 기사다운 미덕의 규범을 지키기 위한 여정을 떠나요.
2. 도피주의와 낭만주의 : 돈키호테는 일상의 평범한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그의 욕망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그는 낭만주의와 환상의 세계를 받아들이며, 곤경에 처한 기사들과 처녀들의 영웅적인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려고 하죠.
햄릿과 돈키호테는 대조적인 심리적 특성과 동기를 가진 인물들로 문학 작품에서 인간 특성의 여러 측면을 보여줍니다. 햄릿의 자기 성찰, 미루기, 정의 추구는 돈키호테의 이상주의, 망상, 기사도 탐구와 대조적인데요. 그들은 이러한 복잡한 특성으로 독자들을 사로잡고, 정체성, 정의, 그리고 인간의 본성에 대한 사색을 자극하지요. 셰익스피어의 햄릿과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는 우리에게 또 인류의 문학사에 깊은 영향을 남겼다고 할 수 있어요.
'토론의 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1 : 햄릿 (0) | 2023.06.18 |
---|---|
문학 비평의 방법 (0) | 2023.06.12 |
사회적 불평등은 왜 문제가 되는 걸까요? (0) | 2023.06.06 |
지구온난화 대책 : 지속 가능한 미래로 가는 길 (0) | 2023.05.31 |
유추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