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수면방해요소
- 방사능정보
- 인터스텔라뜻
- 오셀로등장인물
- 소금의긍정적영향
- 수면부족유형
- 진로탐색방법
- 판매중지식품알림
- 독서토론
- 소금의부정적영향
- 셰익스피어
- 숲의중요성
- 4대비극
- 햄릿
- 삼림의환경영향
- 삼림벌채
- 소금의활용
- 능동적표현
- 대인관계기술
- 디지털웰빙하는방법
- 효과적의사소통
- 건강한생활습관
- 방사능검사
- 아껴서저축하기
- 적극적경청
- 시간관리명언
- 나트륨줄이는방법
- 근로청년지원사업
- 백베스
- 폭염대비법
- Today
- Total
좋아하는 것들의 방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2 : 리어왕 본문
"리어왕"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4대 비극 중 하나입니다. 햄릿에 이어 두번째 작품인데요. 이 작품 역시 1603년과 1606년 사이에 쓰였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 비극은 권력, 가족, 광기, 경솔한 결정의 결과 등 여러 깊이있는 주제를 탐구해 볼 수 있는 작품이예요.
플롯
극은 리어 왕이 그의 왕국을 세 딸들 사이에 나누어 주기로 결정하면서 시작됩니다. 리어 왕은 딸들의 애정어린 찬사를 기대했으나, 그의 막내딸이자 가장 사랑하는 딸인 코델리아는 그의 요청을 거부하는데요. 리어왕은 막내의 진심을 모른 채 나머지 두 딸에게 왕국을 나눠주고, 딸인 고네릴과 레간에게 배신당합니다. 버림받은 왕은 점차 광기에 빠지게 되죠. 또 하나의 줄거리는 글로스터 백작과 그의 두 아들 에드거와 에드먼드의 이야기입니다. 이 줄거리 역시 배신과 조종으로 전개되고 결론적으로는 파괴되고 맙니다.
주요 인물
1. 리어왕
극의 중심 인물인 리어 왕은 자랑스럽고 권위적인 통치자에서 망가진 노인으로 몰락합니다.
2. 코델리아
아버지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이 진실과 진실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리어의 충실하고 정직한 딸
3. 고네릴과 리건
아버지의 약점을 이용하여 개인적인 이익을 얻는 리어의 기만적인 딸들
4. 바보(The Fool)
리어의 충실한 동반자 역할을 하며 혼돈 속에서 이성의 목소리를 제공하는 재치 있고 통찰력 있는 캐릭터
5. 에드먼드
다른 사람들을 조종하여 권력을 얻으며 극을 비극으로 이끌어가는 글로스터의 사생아
6. 글로스터
맹목과 배신이라는 주제를 부각시키며 리어와 마찬가지로 몰락하게 되는 귀족
주제
1. 통제와 권력
셰익스피어는 등장인물들이 통제를 갈망하고 그 행동의 결과와 씨름하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권력의 부패함을 드러냅니다.
2. 배신과 기만
등장인물들이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서로를 속이고 조종하기 때문에, 배신의 모티프는 극 내내 이어져요.
3. 자연의 상징성
작품 속에 언급되는 자연은 상징적인 표현입니다. 극 전반의 혼돈과 도덕적 타락을 반영하고 있죠.
토론주제
1. 권력은 부패할 수 밖에 없는 것일까?
극중 인물들이 권력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살펴보며 권력의 성격에 대해 이야기해 볼 수 있어요.
2. 부모와 자녀의 바람직한 관계는 어떤 관계일까?
리어왕은 주군에 대한 충성과 부모에 대한 효도, 가족간의 사랑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각 등장인물들의 선택에 대해 논의해 봅시다. 무엇이 그들을 배신하도록 만들었나요? 진정 바람직한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무엇일까요?
3. 인간에게는 운명과 자유의지 중 어느 것이 더 강력한가?
작품 속에서 운명과 자유의지는 매우 중요한데요. 둘 중 어느것이 더 강력할까요? 그들의 행동은 운명에 의해 미리 결정된 것인지 자신의 자유의지에 따른 결과인지 논의해 봅시다.
"리어왕"은 자존심, 탐욕, 배신의 파괴적인 결과를 보여주며 인간 본성에 대한 심오한 고찰을 하도록 만드는 작품입니다. 셰익스피어의 노련한 스토리텔링, 매력적인 인물들, 시대를 초월한 주제들은 수세기에 걸쳐 계속해서 청중들에게 영향을 주는데요. 관객들은 리어 왕과 그의 왕국의 비극적인 결말을 지켜보면서 권력, 가족 관계, 그리고 인간 정신의 연약함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지요.
'토론의 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4 : 오델로 (0) | 2023.06.24 |
---|---|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3 : 맥베스 (0) | 2023.06.18 |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1 : 햄릿 (0) | 2023.06.18 |
문학 비평의 방법 (0) | 2023.06.12 |
햄릿과 돈키호테. 나는 어느 쪽? (0) | 202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