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것들의 방

AI 시대에 꼭 필요한 능력 5가지 본문

생활의 발견

AI 시대에 꼭 필요한 능력 5가지

세이스토리 2023. 5. 2. 00:35

인공지능시대가 이제 턱밑까지 다가왔습니다. 시대의 흐름은 거스를 수가 없다는 것을 이미 역사가 알려주고 있듯 이제 인간은 인공지능과 공생해야 할 텐데요. 사회. 정치.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겠지만 일단 각 개인은 어떻게 이 시대를 대비해야 할까요. AI시대에 꼭 필요한 능력 5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데이터 리터러시

해석하면 데이터 문해력입니다.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해석하는 능력인데요. 데이터 분석, 통계 및 데이터 시각화 기술까지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데이터 리터러시를 갖춘 사람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을텐데요. 이러한 능력은 개인과 조직의 성과 향상에 주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앞으로 더 중요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데이터 리터러시의 주요 요소는 데이터 수집. 이해. 분석. 통신. 개인정보 보호가 있습니다. 

데이터 리터러시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우선 데이터의 개념과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의 활용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측정하기. 데이터 표현을 시각화하기 활동들을 해보면서 자신만의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통계 개념을 활용해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패턴과 추세를 식별해 보면서 데이터를 해석하는 활동을 해 보면 데이터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점차 알게 됩니다. 데이터 윤리 및 개인정보 보호 또한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요소지요.

2. 비판적 사고

AI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필수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I가 생성한 내용이 타당한지, 신뢰할 수 있는지, 편향된 것은 아닌지 평가하고 판단하여 이를 결정에 활용할 수 있어야 더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질문'을 하고 '호기심'을 가지라고 합니다. 사소한 것도 물을 수 있는 환경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을 때 비판적 사고력도 키워집니다. 또한 정보를 분석하고 평가하면서 오류를 찾아보거나 비판적 사고가 필요한 문제 해결 활동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토론은 비판적 사고를 키우기에 매우 적합한 형태의 학습 방법인데요. 상대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다른 측면은 없는지 생각해본다는 점에서는 비판적 사고력뿐 아니라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까지 기를 수 있습니다.

3. 문제해결력

AI가 당면한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인간의 문제 해결 기술은 다른 차원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창의적으로 문제를 식별하고 해석하는 것은 기존의 데이터를 학습하는 것만으로 간으하지 않기 때문이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생각하고 새로운 방법을 찾는 것이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더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문제의 구성요소를 파악하는 활동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브레인스토밍을 해보거나, 여러 대안을 마련한 후 평가해 보고 더 나은 선택을 찾아보는 활동도 좋습니다. 이러한 해결을 직접 실행해봄으로써 그 결과를 확인해 보는 것도 재미있겠지요.

4. 적응성 및 학습 가능성

AI는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새로운 기술과 개념을 배우는 데 주저함이 없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최신 트렌드과 새로운 기술에 개방적인 태도로 임할 수 있으려면 적응성도 필요하지만 학습가능성도 꼭 필요합니다. 내가 배울 수 있어야 적응도 할 수 있고, 개방적인 태도도 갖출 수 있으니까 이 두 가지는 뗼 수 없는 사이라고 봐야겠죠.

5. 윤리적 및 도덕적 추론 능력

AI가 사회 깊숙이 침투할수록 윤리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 늘어날 것은 기정 사실입니다. 윤리적 원칙을 세우고, 인간의 도덕성을 해하지 않도록 해야 우리 사회가 건전하게 유지될 수 있겠지요. 특히나 의사결정을 내릴 때에 이러한 부분을 고려할 수 있어야 AI를 유익하게 활용했다고 볼 수 있을 거예요. 

 

Comments